美 캐주얼 시장 장악 캐주얼시장 40년 공략…
갭·자라·H&M 줄섰다1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한세실업은 전년보다 31.8% 불어난 2조2047억원의 매출을 올렸다. 1982년 창립 후 딱 40년 만에 ‘2조원 매출’을 돌파했다. 영업이익 역시 68.3% 급증한 1795억원으로 사상 최대였다. 한세는 이런 성과를 거둘 때까지 수많은 우여곡절을 겪었다. 한세통상이 1979년 2차 석유파동의 파고를 넘지 못하고 부도를 낸 게 대표적이다. 김 회장은 “그보다 더한 위기가 없었다”고 회고했다. 하지만 김 회장은 전열을 정비해 재도전에 나섰다. 3년 후 한세실업을 창업해 굴지의 패션 주문자상표부착생산(OEM)·제조업자개발생산(ODM) 기업으로 성장시켰다. 한세실업은 글로벌 캐주얼 브랜드 OEM·ODM에 특화해 있다. 갭그룹 산하 브랜드를 비롯해 ‘칼하트’ ‘핑크’ 등 미국의 캐주얼 브랜드와 월마트, 타깃, 콜스 등 대형마트에 납품한다. 내로라하는 글로벌 납품처가 30여 곳에 달한다. 주력이 캐주얼이란 점은 닮은꼴 사업을 펼치는 또 다른 OEM·ODM 강자 영원무역과 대비된다. 영원무역은 아웃도어, 스포츠웨어에 강점을 보인다. 이는 김 회장이 사업 초기 미국 최대 마트였던 K마트와 거래를 튼 이후 대형마트나 캐주얼 기업을 중심으로 거래처를 확장한 것과 무관하지 않다는 게 패션업계의 분석이다.